최근글일상생활정보

의원 병원 차이 동네 간판 보고 전문의 일반의 구별 방법

00 병원 00 의원 00 피부과 00 내과의원 00 소아과등 동네의원 간판을 보면 참 다양한 이름들이 있습니다 잘 모르고 얼핏 보면 그냥 진료과목만 다른 병원인 것 같지만 사실 간판 이름에 미묘한 차이를 보면 아주 중요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전문의 일반의 간판 차이

우선 병원과 의원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병상수의 차이입니다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병상의 수가 30개 이상인 경우에는 병원 30개 미만은 의원이라고 칭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흔히 동네에서 볼 수 있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의료기간은 대부분 병원이 아닌 의원이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의원에서 걸어 놓은 간판을 유심히 보면 땡땡 성형외과의원 땡땡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 땡땡 성형외과의원 진료과목 정형외과 이런 식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제각각입니다 이 부분에 중요한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 우선 일반의와 전문의 차이를 알아야 합니다 의대를 졸업해 의사 국가고시를 보고 의사면허증을 취득하면 일반의가 됩니다 그리고 전문의는 일반의 자격을 취득한 후 1년 동안 인턴으로 가 각과를 돌면서 전공할 과를 정하고 이후 4년 간의 레지던트 기간이 끝난 뒤 전문의 시험을 치러 합격하면 전문의가 됩니다 그리고 일반의와 전문의가 각각 자신에 의원을 열게 되면 그 이름에 차이가 생겨났는데요요 의료법 시행규칙 제40~ 42조에 따르면 간판을 세울 때 전문의만 의원 앞에 자신의 전문과목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일반의는 의원 뒤에 진료 과목 땡땡과 라고 표시해야죠

예를 들어 성형외과전문의가 개원할 경우 땡땡 성형외과의원이라고 간판을 세울 수 있지만 일반의는 땡땡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라고 표시해합니다 일반의가 땡떙성형외과 의원이라고 간판을 세우는 것은 불법이게 됩니다 혹은 땡땡 성형외과 의원 진료과목 정형외과라고 표시된 의원은 성형외과 전문의가 정형외과 진료도 함께 본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의원을 가실 때에는 진료과목을 보지 마시고 간판 명칭에 들어간 전문 과목을 보시거나 내과 전문의 누구라고 명확하게 표시된 곳에 가셔야 합니다 땡땡 정형외과 간판에 진료과목 정형외과 내과라고 쓰여있다면 정형외과 전문의가 내과 환자도 본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의가 보는 내과와 내과 전문의가 보는 내과 질환은 다르겠지요 우리가 자주 가는 치과에도 일반의 전문의가 있습니다 치과에는 교정과 구강외과 구강내과 보존과 영상 치의과 보철과 치주과 소아치과 같은 과로 나누어져 있고 치아 잇몸 교정 턱관절 등 각 주 종목이 있습니다 간단한 스케일링 하러 가는 게 아니라 잇몸이 안 좋으면 이쪽 전문의 최대한 찾아서 치과병원 가는 게 맞겠죠 물론 의료법에 따르면 일반의 전문의 모두 병원을 낼 수 있으면 전문 과목이 아니어도 의료기관이 표시할 수 있는 다른 진료과목을 진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의가 의원을 열고 피부과와 성형외과 와 정형외과를 함께 진료해도 간판 표시만 정확하게 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일반의원을 찾아갔지만 전문의가 필요한 진료일 경우에는 전문의가 상주하는 병원으로 이관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피부과 전문의 의원에서 내과 소아과 진료도 할 수 있는 것이죠 이렇게 간판만으로도 전문의원인지 일반의원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병원에 들어가서 전문의 자격증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도 있겠죠 앞으로 자신이 가는 병원이 어떤 병원인지 어떤 의원인지 잘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병원을 찾는다면 더 빠르고 잘 고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병원과 의원의 차이점과 간판의 의미

병원과 의원을 구분하는 기준

병원과 의원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병상 수에 있습니다.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병상의 수가 30개 이상인 경우에는 “병원”으로 분류되고, 30개 미만인 경우에는 “의원”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의료기관은 대부분 병원이 아닌 의원입니다. 이 점은 의료기관의 규모와 운영 방식에서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간판을 통해 알 수 있는 정보

간판은 의료기관의 중요한 정보 전달 수단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간판의 진료과목을 보고 병원을 선택하지만, 실제로는 간판의 세부 표현이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땡땡 성형외과의원”, “땡땡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되는 간판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일반의와 전문의의 차이

  1. 일반의:
    • 의대를 졸업하고 국가고시를 통과하여 의사 면허를 취득하면 일반의가 됩니다.
  2. 전문의:
    • 일반의 자격 취득 후, 1년간 인턴 과정을 거쳐 전공과를 선택한 뒤, 4년간의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해야 합니다. 이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 자격을 얻게 됩니다.

전문의와 일반의가 각각 의원을 개설할 경우, 간판에 표시되는 명칭이 달라집니다. 이는 의료법 시행규칙 제40~42조에 명시된 사항입니다.

간판 명칭의 규칙

  1. 전문의가 개원한 경우:
    • 전문과목을 간판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형외과 전문의가 의원을 열었다면, “땡땡 성형외과의원”이라고 간판을 세울 수 있습니다.
  2. 일반의가 개원한 경우:
    • 전문과목을 직접 명칭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땡땡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로 표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일반의가 “땡땡 성형외과의원”이라는 간판을 세우는 것은 불법입니다.
  3. 전문의가 다른 과를 진료하는 경우:
    • 예를 들어, “땡땡 성형외과의원 (진료과목: 정형외과)”라고 표시되어 있다면, 이는 성형외과 전문의가 정형외과 진료도 함께 본다는 의미입니다.

간판에서 확인할 사항

의원을 방문할 때는 진료과목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간판 명칭에 명시된 전문 과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내부에 들어가 전문의 자격증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땡땡 정형외과” 간판에 “진료과목: 내과”라고 쓰여 있다면, 이는 정형외과 전문의가 내과 환자도 본다는 뜻입니다.

치과의 경우

치과 역시 일반의와 전문의가 나뉘어 있습니다. 치과는 세부적으로 교정과, 구강외과, 구강내과, 보존과, 영상치의학과, 보철과, 치주과, 소아치과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단순한 스케일링이나 기본 치료가 아니라, 잇몸 질환이나 턱관절 문제와 같은 특정 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분야의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의와 전문의의 진료 범위

의료법에 따르면 일반의와 전문의 모두 병원을 운영할 수 있으며, 전문 과목이 아니더라도 다른 진료 과목을 다룰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의가 운영하는 의원에서 피부과, 성형외과, 정형외과를 함께 진료할 수 있습니다. 단, 간판에 정확히 표기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전문의가 필요할 경우, 일반의원이 환자를 전문의가 상주하는 병원으로 이관하기도 합니다. 마찬가지로 피부과 전문의 의원에서도 내과, 소아과 진료를 할 수 있습니다.

병원 선택 시 고려사항

  • 간판 확인: 간판에 표시된 전문과목과 진료과목을 유심히 살펴보세요.
  • 전문의 자격증 확인: 병원 내부에서 전문의 자격증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자신의 상태에 맞는 병원 선택: 단순한 질환은 일반의에게 진료를 받아도 충분할 수 있지만, 특수하거나 심각한 질환의 경우 해당 분야 전문의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과 의원의 차이, 그리고 간판의 의미를 잘 이해하면 더 적합한 의료기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 병원을 방문하기 전에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병원을 찾으세요.